
학원에서 아이들에게 흥미롭게 영어를 가르치기 위해 피카츄를 설명하는 교안을 가지고 갔다
첫 문장
Pikachu is like a ________.
교안에서 제시하는 정답은 mouse 이지만 어떤 아이가 자신은 친칠라와 같아보인다고 하여 그 의견도 존중해주려고 친칠라로 써라고 했다.
아직 7살 아이들이기 때문에 단어를 어떻게 쓰는지 몰라 그 아이가 친칠라를 영어로 어떻게 쓰냐고 물어보았다.
나도 친칠라를 영어로 써본적이 없기 때문에 인터넷에서 찾아보겠다고 하고 찾아서 칠판에 써주었다

Chinchilla
그러면서 친칠라 이미지로 친칠라가 무엇인지를 확인하였다.
그러자 아이가 “영어 선생님이 왜 친칠라를 영어로 몰라요?” 라고 하였다.
그러자 나의 반응
-> “Just because I'm a teacher doesn't mean I know everything.”
예전이라면 그런 아이의 말에 당혹감과 부끄러움을 느꼈을텐데 지금은 “영어 선생님은 모든 영어를 알아야한다.”라는 아이의 생각이 당위주의적인 비합리적 신념이라는 걸 알기에 그런말을 듣고도 부정적인 정서가 바로 떠오르지 않고 오히려 침착하게 답을 하는 나를 발견했다.
얼마전 이상심리학 교수님이 “교수라고 해서 다 안다고 생각하는 것은 비합리적 신념이죠” 라고 말했던 걸 인상깊게 들었던 점도 나의 정서적 반응에 한 몫 했을 것이다.

이 친칠라 사건을 겪은 후 앨리스의 인지정서행동치료 (REBT -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의 주요개념인 성격의 3가지 측면, 당위주의, 비합리적 사고(신념), 그리고 ABC이론을 몸소 체험하고 검증하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 성격의 3가지 측면
1) 생리적 측면
2) 사회적 측면
3) 심리학적 측면
- 정서적 혼란이 비합리적인 신념에서 유발된다고 보았음.
- 비합리적인 신념에 토대를 두고 생각하다보면, 불안하거나 우울하거나 쉽게 흥분하게 되며, 더 나아가 그렇게 느끼는 자신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하게 됨.
<도식>
비합리적인 사고로 불안과 우울 경험 -> 자신이 스스로 불안하고 우울한 것에 대해 불안해하고 우울할 것임 (이차불안/이차우울) -> 악순환 경험
-> 바람직하지 못한 감정을 차단하기 보다 논리적(인지적)인 관점을 통해 개인으로 하여금 불안과 우울을 생성하는 신념 체계를 변화시켜야 함
2. 당위주의
- 우리를 파멸로 몰아넣는 근본적인 문제는 우리가 갖고 있는 비합리적인 신념(irrational beliefs)임.
- 사고, 감정, 행동은 상호 밀접하게 관련되어 순환관계를 이루고 있음.
- 인간은 근본적으로 불완전하고 전지전능하지 않기 때문에 인간과 관련하여 당위성을 강조하는 것은 비합리적.
1) 자신에 대한 당위성
나는 반드시 이래야해 or 결코 이래선 안돼
2) 타인에 대한 당위성
넌 내 ~나까 반드시 이래야해 or 결코 이래선 안돼
3) 조건에 대한 당위성
나의 가정은 늘 화목해야해 or 갈등이 없어야해
3. 비합리적인 사고(신념)
정서장애를 유발하고 유지시키는 비합리적인 생각 by 앨리스
- 알고 있는 ‘모든 의미 있는 사람들로부터 인정받고 사랑받는 것’이 필연적이라는 생각
예) 회사에서 신입 시절, 내 팀과 관련 부서 모든 사람에게 잘 보이려고 인정받으려 했던 일
- 자신이 가치있는 사람이려면 ‘모든 측면에서 철저하게 능력이 있고, 올바르고, 성공적이어야 한다.’는 생각
예) 회사에서 좋은 평가에 목메어 위의 생각으로 나 자신을 너무 몰아세우고 정서적으로 힘들게 했던 일
- 위험하거나 두려운 일이 있으면 그 일에 대해 몹시 걱정하고, 그 일이 일어날 가능성을 계속해서 가져야 한다는 생각
예) 걱정을 계속 해야 그 일에 관심을 두게되고 대비책을 세울 수 있단 이유로 계속 걱정만 하고 합리적인 대비책은 이성적으로 생각하지 않았던 일. 그리고 걱정이란 정서가 또 이차불안과 이차우울로 이어져 악순환이 되었던 일
위의 세가지 비합리적인 생각 외에도 앨리스 아저씨가 적어놓은 생각들이 살면서 생각해본 생각들이란 점을 볼 때, 나만 저런 생각을 하는게 아니였구나 하고 느꼈다.
그리고 사람들은 쉽게 비합리적인 생각을 믿고 신념체계로 살아가는구나 라고도 느꼈다.
4. ABC이론
1) 앨리스는 신념체계를 합리적인 것과 비합리적인 것으로 분류
2) 합리적 신념체계를 갖는 사람과 비합리적 신념체계를 갖는 사람은 동일한 사건을 경험하더라도 서로 다른 정서적 행동적 결과를 경험
3) 우리의 정서적 행동적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으로 사건보다는 신념체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인지, 정서, 행동 치료를 ABC이론이라고도 함
A(Activating events) : 의미있는 ‘활성화된 사건’
B(Belief system) : 자신이 지닌 ‘신념체계’
C(Consequences) : 자신이 경험할 정서적, 행동적 ‘결과’
여기서 친칠라 사건을 대입해보면
A 는 학생이 선생에게 “영어 선생님이 왜 친칠라를 영어로 몰라요?” (영어 선생이라면 영어를 모두 알아야한다) 라고 한 활성화된 사건
B는 내가 가진 신념체계 (선생이라고 해서 다 안다고 생각하는 것은 비합리적 신념이다)
C는 내가 경험할 정서적 행동적 결과, 침착하게 대응
만약 나의 신념체계B 가 학생과 같았다면 C는 당혹감, 수치심이었을 것이다. (집에서도 회상하게 만들어 불안과 우울을 야기시킴)
4) 인지정서치료의 핵심과정
상담자는 ‘문제를 가진 내담자의 신념체계가 비합리적이다’는 것을 설득력있게 논리적으로 반박함(disputing)
-> 변화(효율적 결과 efficient consequence)를 유도함.
ABCDE 이론이라고도 함
내 스스로 학생에게 반박 D 하여 효율적인 결과 E 를 유도함으로써 사건은 종결되었다.

친칠라로 하여금 인지, 정서, 행동치료(REBT)에 대해 경험해볼 수 있었던 좋은 사건이었다
'심리학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로고민] 권고사직 이후 감정 다루는 법 1편 (0) | 2023.09.08 |
---|---|
바람의 검심으로 보는 스승의 역할 (0) | 2023.06.19 |
[심리학] 포켓몬 브리무음이 보여주는 투사 및 전이 (0) | 2023.04.09 |
요즘 핫한 ChatGPT (챗지피티 / 챗쥐피티) 활용법 (0) | 2023.02.28 |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입학 방법과 절차 (ft. 합격 후기) (0) | 2023.02.21 |